목록스팀잇 (53)
나, 지금, 여기

원본 글은 아래 링크입니다. DTube Coin Airdrop: Claim your account now with your Steem username! https://busy.org/@dtube/dtube-coin-airdrop-claim-your-account-now-with-your-steem-username 몰랐는데 현재 디튜브가 테스트넷에서 돌아가고 있었네요. 테스트 기간이 끝나면 ‘리셋’이 된다고 하는데요. 리셋이 되기 전에 디튜브 계정을 미리 신청한 스티미언에게 최초 토큰 물량의 50%를 에어드랍 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일종의 사전가입 이벤트로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에어드랍 신청방법은 ● https://d.tube/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오른쪽 상단의 'Claim now'를 클릭! ● 퍼블릭키와..

일러 퀄이 워낙 좋아서 홈페이지도 멋지네요. ㅎㅎ http://roadofrich.com/ ROR 토큰으로 즐기는 경제 전략 시뮬레이션! 채집, 채굴, 무역, 전투를 통해 얻어지는 부가 현실이 되는 경험! 이렇게 게임에 대한 소개도 나오고요. 토큰 이코노미에 대한 설명 그리고 토큰 세일 일정 그리고 그동안 간략하게만 알려진 '팀' 멤버도 구체적으로 공개됐습니다. 그리고 오늘 RORS 2차 세일이 시작됐고요~ 관심 있으신 분은 스팀엔진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저도 몇 개 안되지만 RORS 조금 더 샀습니다. 조금씩 사다보니 AIT랑 합해서 7만원 넘게 산 셈이 됐네요. ^^; 게임이 나오기 전에 토큰을 사는 건 사실 굉장히 리스크가 큰 거지만 뭐.. 저야 소액 투자로 재미 삼아 사는 거고 게임이 나오면 또 ..

피드에 스낵스 관련 글이 많이 보입니다. 뭐인가 하니... 에어드랍 정보입니다! ㅎㅎ 이런 건 일단 하고 봐야죠. 그래도 너무 아무것도 모르면 좀 그러니까 간단하게 알아봅시다. 홈페이지 주소는 -> Snax.one Snax is a blockchain platform. It was created for people to receive rewards for their social activity (tweets, Instagram posts, and so on) and to make instant free micropayments without leaving their favorite social platform. Developers can use Snax blockchain to create decentr..
Are you ready to get paid for your time? 당신의 시간에 대한 보상을 받을 준비가 됐습니까?어디서 많이 본 듯한 이야기입니다.바로 스팀잇이죠. '글'을 '시간'으로 바꾸면 거의 같은 소리가 됩니다.그리고 어떻게 보면 글을 쓰는 행위도 '시간'이 소요됩니다. 결국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경제는 (전부 다는 아니겠지만) 참여자의 시간을 동력으로 돌아가는 시스템이라 생각해도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기존에 '일'이라고 규정되지 않았던 시간에 대한 보상을 준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블록체인이 흥미로운 것이죠.퍼미션 팀은 이러한 시간 중에서도 '보는 시간'에 주목했습니다. 우리가 늘 보지만 아무런 보상을 얻지 못했던 영역, 바로 광고입니다.마케터(광고주)가 홍보하고 싶은 영상을 퍼미션..
드디어 올 게 왔습니다.사실 스팀 기반 댑 중에 가장 먼저 개발됐어야 할 댑이라고 생각합니다.블록체인, 권력의 분산, 합의에 의한 결정 등 스팀잇이 내세웠던 여러 가치가 있지만 핵심은 바로 '돈'이기 때문이죠.물론 글을 쓰면 돈을 벌 수 있다는 점이 스팀잇이 강조한 광고 포인트긴 했습니다만, 그건 스팀 가격이 뒷받침될 때의 이야기니까요. 그리고 한동안 스팀 가격이 괜찮았기에 디클릭(dclick) 같은 서비스가 조금 늦게 등장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그렇지만, 사실 글 하나를 똑같이 써서 수익이 2배 혹은 3배가 될 수 있다면 안 할 이유가 없죠.디클릭은 간단히 말해 애드센스를 스팀잇에 도입한 거로 생각하면 됩니다. 물론 구체적 작동 방식은 블록체인 기반이기에 다릅니다만, 그렇게 복잡한 과정을 다 알 ..
EDS(Endorsit)가 한국 공식 커뮤니티 런칭을 기념해 에어드롭을 진행합니다. 네오 기반 토큰이고 현재 bit-z에 상장 돼 있습니다. 텔레그램에 입장하면 5000개를 받을 수 있습니다.코인판에 올라온 분석글을 보니 '중국의 스팀잇'이란 별칭을 붙였네요. 해당 글에 따르면 스팀잇의 스팀파워가 투표권과 보팅력 모두에 영향을 끼친 것과 달리 EDS는 투표 부분을 따로 떼어놓았다고 합니다. 살짝 읽었는데 좀 복잡하네요. 궁금한 분은 직접 읽어보시면 되겠습니다.자, 그럼! 에어드랍은 어떻게 받느냐. 방법은 간단합니다.텔방 입장 - https://t.me/endorsitkorea초대코드 입력 - @banjjakism 31/07/201810월 댑 런칭 시기까지 존버 후 지갑 주소 양식 작성초대코드는 이미 텔방..
이오스 기반 SNS인 'ONO' 어플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앱 출시 기념으로 초기 가입자 5만명까지 500 ONO 토큰을 에어드랍하는 이벤트가 진행 중입니다.현재 4만6천명이 넘게 찬 상황이니 가입하실 분들은 조금 빨리 움직이시는 게 좋을 듯합니다. 바로 설명 들어갑니다.아래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스마트폰에서 접속하시는 게 편합니다.https://www.joinono.com/kr/아이폰 혹은 안드로이드 중에 골라서 클릭!다운로드를 누릅니다.그리고 설치를 하면 되는데 앱스토어나 플레이스토어에 등록된 어플이 아니기 때문에 권한 설정을하라는 알림이 뜰 겁니다.사실 웹상에서 apk 확장자의 파일을 받는 건 좀 위험한데요. 스토어가 한 번 검증하기 전이기 때문에요.현재 제가 다운받아 설치하고 알약 검사까지 돌렸지..
스팀잇과 같이 블록체인 기반의 신생 SNS가 아니라 기존 SNS를 통해서도 돈을 벌 수 있는 길이 열릴지도 모르겠습니다.저는 스팀잇이 여전히 '베타' 서비스인 이유 중 하나로 '외부 광고'가 없다는 점을 꼽습니다.스팀잇이 가지는 기술의 가치와 그 생태계를 움직이는 인적 가치(스팀잇 이용자)는 존재하지만, 이는 잠재적 가치기 때문이죠. 이러한 잠재적 가치를 이용해 실질적 수익을 내는 순간이 어떻게 보면 스팀잇이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는 시점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그런 면에서 오늘 '씹어 볼' 코인, 언박스드는 주목할 만합니다.'언박스드.네트워크'는 소셜 마케팅을 원하는 기업들과 SNS 인플루언서를 '직접적'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입니다.언박스드는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기존 SNS..
얼마 전 이오스 기반 거래소인 '체인스'가 에브리피디아(IQ)를 상장했습니다.상장하면서 IQ 토큰 보유 이벤트도 열었죠. 체인스에 IQ 토큰을 보유하면 보유 비율에 따라 체인스 거래소 토큰인 CET를 에어드롭해주는 이벤트입니다.다시 말해, 이오스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 지갑 혹은 에어드롭을 지원하는 거래소에서 받은 IQ 토큰을 체인스로 옮겨야 참여할 수 있는 거죠.그래서! 처음으로 이오스 토큰을 전송해봤습니다.안전하게 체인스에 입금됐습니다. 현재 이오스 기반 토큰을 웹상에서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은 (제가 아는 한에선) 두 가지가 있습니다.이오스툴킷을 이용하거나 스캐틀릿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두 사이트 모두 스캐터 키쌍 등록과 신원인증이 완료된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스캐터 관련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
언제부터였을까?하나, 둘. 팔로워가 늘어나면서 내 피드에 올라오는 글도 다 읽지 못하기 시작했던 시점이.스팀잇을 처음 시작했을 때야 당연히 kr 대세글을 읽었지만, 어느 정도 적응하고 뉴비를 벗어났을 무렵부터는 kr 태그로 따로 들어가 글을 읽을 수가 없었다. 내 피드에 올라오는 글도 다 읽지 못했으니까. 다시 말해, 그만큼 참 많은 글이 올라왔다는 뜻이다.그런데 최근엔 피드에 올라오는 글을 다 훑어도 시간이 남는다. 물론 하나하나 꼼꼼히 읽는다는 뜻은 아니지만, 분명 글이 많이 줄었다.그래서 정말 오랜만에 kr 태그에 신규 글들을 읽었다.조금 넘겼을 뿐인데 작성 시간이 점점 멀어진다. kr 태그로 올라오는 글 자체가 많이 줄었다는 게 느껴진다.닭이 먼저인지 달걀이 먼저인지는 알 수 없지만, 확실한 것은..